칼과 활은 전쟁의 역사에서 병사들의 주 무기였습니다. 그러나 총기류가 등장하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죠. 
그런데 현대적인 신무기가 대거 등장했던 2차 세계대전에는 총이 아니라 활과 장검을 들고 전장에서 큰 공을 세웠던 전설적인 인물이 있었습니다. 

 

그는 2차 세계대전에서 '싸우는 잭' 또는 '미친 잭'으로 통했던 '잭 처칠' 중령입니다. 
‘잭 처칠’ 명대사중 "전투에 검을 차고 나가지 않는 장교는 복장 불량이다.” 가장 유명하죠.

 


'잭 처칠'은 1906년 월 16일 영국 출생입니다.
영국 사관학교 출신이고 1936년 군에서 제대 후 영화배우로 활동하기도 했지요.
1938년 영국군 백파이프 경연 대회에서 2등을 하기도 했고,1939년 오슬로 세계 양궁대회에 영국 대표로 나갈 정도로 백파이프 연주와 활 쏘기에 타고난듯 했습니다. 여러가지 분야에서 다재다능 했지요.

이후 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고 그는 다시 영국군 장교로 입대했습니다.
이때부터 특이한 정신무장과 행동으로 전설적인 전공을 세우게 되죠.

잭처칠은 백파이프, 영국 장궁, 스코티시 브로드소드를 총 대신 들고 다녔어요.
전쟁이 시작되면 스코틀랜드의 백파이프를 한곡 연주 한 후 칼을 뽑아 들고 괴성을 지르며 돌격하는 전투법을 사용했습니다

 


1940년 영국군의 프랑스 원정군에 들어가 싸웠던 적이 있습니다.
자신의 소대가 매복 중에 독일군 순찰대를 발견하자 잭 처칠은 자신의 부하들에게 "내가 저기 앞에 있는 독일군을 활로 쏴 죽이는 동시에 공격하라" 명령하고는 직접 독일군을 활로 저격해 쓰러트렸습니다. 그당시만 해도 저격소총을 통해서 처리하면 됬는데 말이죠.

이 기록은 2차 세계대전에서 유일하게 활에 의한 적 사살로 지금까지 기록으로 남아있습니다. 
이후 그는 일반 보병이 시시 하다고 판단했습니다.그래서 코만도에 자원하여 활동했습니다.

잭 처칠은 1941년 12월 27일, 자신이 맡은 코만도스 부대를 이끌고 당시 '양궁 작전'에 참여했습니다.
지휘관임에도 불구하고 직접 상륙함에 탑승했고, 자신이 탑승한 상륙함이 가장 먼저 도착해 램프가 개방되자마자 가장 먼저 뛰어내려 총알이 날아오든 말든 자신의 특기인 백파이프 연주 한 곡을 한 후 끝남과 동시에 수류탄을 던지며 독일군 벙커로 차례로 돌격했다고 합니다. 

 


적 해안포 진지들을 수류탄으로 직접 박살을 내놓고 2시간 후 본부와 했던 통신에서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해안포 점령 완료!" "아군 피해 거의 없음" "남은 해안포 진지는 지금 폭파하는 중”

그는 독일군의 해안포 진지를 수류탄으로 전부 폭파했습니다.
용맹함과 지휘관으로서 모범이 인정되어 그는 지휘관으로서 십자훈장을 수여받았죠.

잭 처칠은 1943년 6월에 다시 한 번 코만도스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전쟁에 참여하게 됩니다.
카타니아 해변에 상륙했고, 당연히 가장 먼저 뛰어내려 그의 3대 무기인 브로드 소드와 활을 차고 백 파이프를 연주하며 전투에 임하게 됩니다.  

 


이때 본부에서 모리나 마을에 있는 독일군 관측소를 습격하라는 명령을 받게 됩니다.
자신이 돌격할 때 엄호해줄 소총수 한 명과 단 두명이서 습격했고, 독일군 박격포 부대를 박살냈습니다.
혼자 42명의 독일군 포로들을 잡게 되고, 또 한번 훈장을 수여받게 됩니다.

 


잭 처칠은 1500명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자신의 코만도스 44명의 대원과 함께 브락섬에 상륙했습니다.
그러나 독일군들의 거센 공격으로 1500명의 파르티잔들은 잭과 코만도스 부대원들을 버리고 도망갑니다. 

 


또 가시 잭은 백파이프를 꺼내들고 44명의 코만도스와 같이 독일군 점령지로 진격했으나, 박격포 공격으로 자신의 부하들을 다 잃게 됩니다.
자신은 수류탄을 꺼내들고 적진에 돌격하다가 수류탄 폭발로 기절하여 포로가 됩니다. 

포로가 되었지만, 잭 처칠이 누굽니까 당연히 탈출합니다.

당시 포로수용소에서도 온갖 기행을 일삼았다고 해요.
독일군들도 그의 골때리는 행동으로 골머리를 앓았다고 하고, 호시탐탐 탈출 기회를 노리다가 처음 탈출은 실패로 돌아갑니다.
두번째 시도에서는 수용소 정전이 되자마자 들고 있던 삽을 던져버리고 전력질주로 수용소를 벗어나게 됩니다.
도보로 241km를 이동하여 이탈리아에 주둔 중이던 미군에 구출되었습니다. 평범한 군인들은 도저히 흉내 낼 수도 없는 일이죠.

 


탈출 후에도 잭 처칠은 팔레스타인 등 해외에 파견되어 코만도스를 지휘하는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1959년 중령으로 예편한 후 영화배우 활동도 잠시 하다가 1996년 자신의 고향에서 세상을 떠났습니다.
전장에서 그의 별명은 ‘미친 잭’ 이었습니다. 쏟아지는 총탄과 수류탄을 피하고 태연하게 백파이프를 연주하고 브로드소드를 들고 싸웠던 용기는 어디에서 나왔을까요?

블로그 이미지

광화문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