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현충원 파월장병 제2묘역에는 채명신 장군의 묘가 있습니다.
수많은 사선을 넘어, 6.25전쟁, 베트남전쟁의 한국 영웅 이었고, 살았을때 유언대로 장군 묘역이 아닌 죽음의 사선을 함께 했던 병사들과 묻히기를 희망했다고 해요.
채명신 장군은 1926년 황해도 출생입니다.
항일운동가인 아버지와 크리스천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고, 평범한 목사의 꿈을 키우던 청년이었죠.
그러나 6.25전쟁이 발생하고 남쪽에 있는 육군사관학교를 거쳐 군인의 길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당시에는 군인들이 발령을 꺼려했던 제주도 9연대에 배치됩니다.
그는 군 통솔 철학인 '골육지정의 리더십'을 터득하는데, 그로인해 그는 형제와 같은 부하들에 의해서 몇 번의 죽을 고비를 넘기게 됩니다
이후 송악산 전투, 남파 게릴라들을 토벌하려고 태백산에 투입되어 군인으로서 성장합니다.
채명신 장군의 활약은 6.25전쟁 초기 북한군 후방에 침투하여 게릴라전을 지휘했던 백골병단에 있을 때부터 시작됩니다.
당시에는 제대로 훈련받은 병력도 부족했고, 부대 지휘관 역시 경험이 부족해서 일반적인 작전도 성공하기 힘들었죠.
하지만 북한군으로 위장한 백골병단은 북한군의 점령지로 침투해서 혁혁한 전과를 세우게 됩니다.
지금도 채명신 장군의 유명한 일화 중 하나로 소개되는 인민군 63여단을 완전히 궤멸(당시 적 후방을 책임 지던 부대),
대남 유격부대의 지휘관인 김원팔 인민군 중장을 생포해 사살하는 등 훌륭한 전과를 올리게 됩니다.
[베트남 전쟁의 영웅]
박정희 대통령의 월남전 파병 결정이 됩니다.
그러나 채명신 장군은 개인적으로는 월남전 참전이 '명분 없는 전쟁'이라고 하며 반대했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국가의 소명으로 받아들이고 파병을 결정하게 되고, 6.25 전쟁에서의 경험을 활용해서 정립한 '중대전술기지'라는 개념을 이용해 '두코 전투'와 '짜빈동 전투’에서 모두를 놀라게 할만한 전과를 올리게 되죠.
[중대전술기지]
적의 폭격 및 침입에 대비해 2~3명이 들어갈 수 있는 원형 구조로 호를 파놓고 거미줄처럼 연결합니다.
밖으로는 철조망, 크레모아, 지뢰 등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안으로는 박격포 진지, 헬기장 등을 설치해서 완전 요새를 구축하고, 1개 중대 병력으로 대대 규모의 병력을 격퇴하는 전술기지입니다.
채명신 장군의 맹호소속 9중대는 '두코 전투'에서 6배나 많은 북베트남군 2개 대대와의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게 되죠.
이 전투로 인해서 그의 전술 개념은 전투에서 많은 성과를 올리게 됩니다.
그로인해 미군은 한국군에 독자적인 작전권을 넘겨주게 되구요.
그 당시 베트남에서는 채명신 장군의 '양민과 베트콩 분리 정책’,'중대기지 전술'을 미군이 사용했다면,
전쟁이 6개월 만에 끝났을 거라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민간인 보호]
채명신 장군은 전투에서 승리도 중요했지만 전쟁에 시달리는 주민들을 안타깝게 생각했습니다.
장병들과 함께 도로 보수, 구호식품 전달 등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고, 그의 이런 노력은 주민들의 마음을 열고 자연스럽게 베트콩과 주민이 분리되는 상황을 만듭니다. 이로 인해 보다 수월하게 광활한 지역을 통제할 수 있게 됩니다.
[파월장병이 묻혀있는 묘역에 묻어달라]
채명신 장군의 회고록에는 "이제는 떠나도 여한이 없다.
그러나 6.25전쟁과 베트남전쟁에서 자유민주주의와 조국 수호를 위해 땀과 눈물과 피를 흘리고 먼저 가신 전우들의 영령들 생각이 항상 마음에 남는다."는 말을 남겼습니다.
전역 후에도 기업으로부터 고액 스카우트 제의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국가에서 주는 연금으로 생활하는 등 대한민국 군인의 품위를 지켰고, 평소에 미국의 1,2차대전에 참전했던 장군이 국립묘원에 병사들과 함께 안장되어 있다는 말에 크게 감명을 받았다고 합니다.
그는 생의 마지막에서 "나를 파월 장병이 묻혀있는 묘역에 묻어달라" 유언을 남깁니다.
2013년 11월 25일 8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고, 현충원 사병묘역에 그와 생사고락을 같이했던 병사들과 함께 잠들어 있습니다.
'밀리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가의 해군력을 크게 상승시키는 군함 - 1부 (0) | 2019.08.19 |
---|---|
6.25전쟁 북한군 전차 이야기 (0) | 2019.08.16 |
영국의 마지막 소드마스터 잭처칠 (0) | 2019.08.15 |
세계 군사력 4위 인도 군사무기 이야기 (0) | 2019.08.14 |
든든한 호위함 이야기 (0) | 2019.08.13 |